public class Computer { //클래스의 구성요소 // 1)변수(속성,멤버) // 2) 메서드 // 1) 변수(속성,멤버..) // 컴퓨터를 만들기 위한 설계 작업 // Class(설계도)엔 메인메서드 만들지 않음 private String brand = "apple"; // 절대 바뀔 수 없게 만들어야함 // private 접근제한자로 정의돼있기 때문에 타 클래스에서 접근 불가 // c3.brand = "samsung";(apple => samsung)접근 불가 public int ssd = 256; int ram = 16; float cpu = 2.4f; String color = "white"; // 2) 메서드 // 컴퓨터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한 메서드 (기능) // 메서드 : 반복..
// String클래스 메서드(기능)들 // 메서드란 어떤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문의 집합 //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코드를 줄이기 위해 쓰는 개념 0) Integer.parseInt(num) : 정수형태의 String을 진짜 숫자로 만드는 메서드 중요!! String클래스의 메서드는 아니지만 많이 사용함! 정수형태의 문자열(String)을 진짜 숫자로 만들어주는 메서드 String num = "10"; //int a = 10; int a = Integer.parseInt(num); System.out.println( a + 1 ); 값: 11 1) .length() : 문장의 길이 String name = "Hong Gil Dong"; int len = name.length(); System.out...
1. 객체란 앞글자가 대문자인 클래스로 만든것은 변수가 아닌 객체 이다! String s1 = "abc"; s1 은 객체 (Scanner sc의 sc도 객체임) 사실 변수가 아니지만 String만 변수라고 불러도 괜찮음 2. 객체 생성 방법이 두가지 (암시적, 명시적) 1) 암시적(주소값 같음), 명시적(주소값 다름) 객체 생성 // 암시적 객체생성 String s1 = "abc"; String s2 = "abc"; // 명시적 객체 생성 String s3 = new String(); String s4 = new String("abc"); 2) 객체간의 값을 비교 .equals(값 비교) , ==(주소 비교) 암시적으로 객체를 생성시 객체의 값은 같은 heap 메모리를 공유하기 때문에 주소값이 같다. 하..
2차원 배열의 모든 값을 출력할 땐 2중 for문이 필요! 중요! test.length -> 큰 방의 개수 test[i].length -> 각 큰방에 포함되어 있는 작은 방의 개수 // 다차원 배열 // 1차원 배열이 2개 모이면 2차원 배열 // 1차원 배열이 3개 모이면 3차원 배열 int[][] test = new int[2][3]; // 큰방 2개 작은 방 3개 test[0][0] = 10; test[0][1] = 20; test[0][2] = 30; test[1][0] = 40; test[1][1] = 50; test[1][2] = 60; System.out.println(test[0][1]); //20 System.out.println(test[1][1]); //50 System.out.pri..